분류 전체보기(69)
-
블록체인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여러 대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이다. 여러 대의 컴퓨터가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는다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다.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른다.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모든 거래 참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도록 돼 있다. 블록체인 거래 과정 블록체인의 출발은? 나카모토 사토시가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 사태를 통해 중앙집권화된 금융시스템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개인 간 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
2023.06.05 -
HTML(2)
오늘 익힌 HTML 문법은 1. - HTML작성시에 모든 source의 시작과 끝맺음에 쓴다. 2. - 밑에 나올 본문용 문법과는 달리 페이지에대한 것을 나타내고 주로 안에 자식code를 써서 활용된다. 3. - 웹 페이지의 이름을 입력한다 4. editer상에 입력한 text가 웹에서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페이지에 editer와 같은 설정을 고정시키는 것 같다(? 정확히는 모르겠어요..) 5. - 정해진 규칙대로 목차의 순서가 써진다. 6. - 목차를 입력한다. (규칙성은 없음) 7. - 목차의 항목을 입력한다. 8. 본문을 가리킨다. ㄴ부모자식코드?: 상위 코드와 그 안에 부분집합으로 씌어지는 하위 코드가 있다. 예시) 또는 또는 ~~~~~~~~~~~~~~~~~~~~ 9. 사이에 text에 링크를..
2023.06.05 -
HTML(1)
오늘 익힌 HTML 문법은 - 사이에 text를 굵게 해준다. - 사이에 text에 밑줄을 그어준다. - 사이에 text를 heading(제목)으로 인식시켜서 굵고 크기를 숫자를 조정한다.(1: 제일큼 / n+1 : 점점 작아짐) - 줄을 바꾼다. + - 줄을 두번 바꿔서 밑(v)의 와 비슷한 효과를 보인다.(결과적으로 한줄 공란) 5. - 사이에 text 들을 문단으로 인식해서 줄을 띈다. + 띄어서 생긴 줄의 공간 높이를 pixel단위로 조정할 수 있다. (style은 html이 아닌 css를 불러오는 코드인거 같다)
2023.06.05